한라구절초
관리자
0
14,739
2017.03.16 23:25
식물 정보 | |
식물명 | 한라구절초 |
학명 | Dendranthema coreanum (H.Lév.&Vaniot)Vorosch. |
분류 | 10~20cm |
종특성 | 국화과 |
타입 | 초화 |
꽃색상 | ![]() |
개화시기 | 8월,9월,10월 |
생장길이 | 10~20cm |
자생지역 | 경기도, 서울, 강원도이남, 충청북도, 충청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제주도 |
생태 및 재배주기 | |||||||||||||||||||||||||||||||||||||||||||||||||||||||||||||||||||||||||||||||
|
생육환경
수분 | ●   ○   ○   ○   ○ |
광선 | ●   ●   ●   ●   ● |
내한성 | ●   ●   ●   ●   ● |
토양 | ●   ○   ○   ○   ○ |
공간별 분류 | |
가치유형별 분류 | |
계절별 분류 | 가을 |
생태적특성
․ 햇볕이 잘 들고 몹시 메마르며 척박한 화산토에 주로 자란다.
․ 극양지성으로서 그늘에서는 자라지 못한다.
․ 고온다습한 조건에서는 생육이 불량하고 고사율이 높다.
조경적 이용
․ 암석원 등에 식재
․ 지피용 소재 및 화단식재용으로 좋다.
․ 척박지 녹화용
활용가치
․ 어린 싹은 식용 가능;(잎)연한 잎을 삶아 나물이나 묵나물로 먹는다.
․ 뿌리는 진해·거담작용·폐렴, 급만성 호흡기에 효과
․ 항균작용
관리 및 재배 시 주의 사항
․ 어린잎과 꽃은 말려서 차로 이용
․ 구절초의 지상부는 생리불순, 생리통, 불임증에 효과
참조
1. 채종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잡종강세로 같은 국화과 식물과 혼식하는 것을 피한다.
2. 본래의 자생지가 해발 1,500m부터 정상 사이에서 자라는 고산성 식물인데 저지대에서 재배할 경우 식물체가 커지고 같은 속 식물과 교잡이 잘 이루어져 형태적인 변이가 심하므로 원종보존을 위해 재배 시 충분한 종간 거리 확보에 유의한다.
3. 초장이 다른 구절초들에 비해 짧고 형태가 방석 모양으로 둥글고 견고하게 자라므로 특별히 개화시기가 아닌 경우에도 관상가치가 높다.
유사종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