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첩개벗
관리자
0
11,709
2017.08.28 11:21
식물 정보 | |
식물명 | 만첩개벗 |
학명 | Prunus verecunda f. semiplena |
분류 | 장미과 |
종특성 | 낙엽활엽교목 |
타입 | 교목 |
꽃색상 | ![]() |
개화시기 | 4월 |
생장길이 | 10m 내외 |
자생지역 | 서울 |
생태 및 재배주기 | |||||||||||||||||||||||||||||||||||||||||||||||||||||||||||||||||||||||||||||||
|
생육환경
수분 | |
광선 | |
내한성 | |
토양 |
공간별 분류 | |
가치유형별 분류 | |
계절별 분류 |
생태적특성 |
산지에서 높이 10m 안팎으로 자라는 낙엽활엽교목이다. |
활용가치 |
관상용으로 심는다. |
형태적특성 |
나무껍질은 자줏빛이 도는 갈색이고 어린가지에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며 달걀형이고 넓거나 좁은 도란형이며 잎끝은 날카롭게 뾰족하고 밑은 둥글다. 양면 맥 위에 털이 있으며, 잎 가장자리의 톱니는 뾰족하다. 잎자루에 꿀샘이 2~4개가 있으며 길이는 10~18mm이다. 꽃은 4월에 잎과 같이 피는데 산방꽃차례에 달리며 연한 홍색 또는 흰색이고, 꽃잎이 겹으로 되어 있다. 암술대에는 털이 없다. 꽃자루는 4.3cm 가량이다. 열매는 핵과, 둥글며 6월에 흑자색으로 익는다. 우리나라 서울 지역에 나며, 일본, 중국 만주에 분포한다. 관상용으로 심는다. 열매는 식용하고 나무껍질은 약용, 목재는 세공재로 사용한다. 만첩개벛이라고도 한다. |
참조 |
|
유사종 |
1. 수양벗나무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