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적특성
산야에서 흔히 자란다. 숲가장자리에서 자란다. 이나무가 잘자라는 토질은 화강암계, 현무암계, 화강편마암계, 편상화강암계, 경상계, 반암계 등이며 대개는 아무데서나 잘 자라는 편이다. 내한성이 강한 양지식물로서 내음성과 대기오염에 대한 저항성은 약하다.
조경적 이용
울타리에 심으면 여름철에 많은 꽃을 볼 수 있고 환경이 좋지 않은 곳에서도 잘 견디므로 조경 및 보안시설 은폐용으로 적합하다.
활용가치
이 나무는 유독성식물이며 식용, 관상용, 약용으로 쓰인다.
줄기와 뿌리는 한방 및 민간에서 천식, 풍질, 각기, 절상, 진통, 발한, 파상풍 등에 다른 약재와 같이 처방하여 약으로 쓴다. 이뇨 제로도 쓰인다.
관리 및 재배 시 주의 사항
형태적특성
낙엽 덩굴식물로 잎은 3~5개로 소엽으로 구성된 우상복엽으로 마주난다. 꽃은 흰색으로 6~8월에 잎겨드랑이에 달리며 3개씩 달리는 원추화서이다. 꽃의 지름은 2cm이고 표면에 털이 있다. 열매는 수과로 흰색 또는 연갈색으로 깃털 모양의 긴 암술대가 있다.
참조
한반도 고유 식물로 분포지가 제한적이어서 희소성이 있으며 약용가치가 있다.
강원도 광덕산에만 분포하는 한국 고유 식물로 관상 및 약용으로서 가치가 높다.
유사종
1. 개버무리
2. 검종덩굴
3. 고려종덩굴
참고